자료형은 크게 기본 자료형과 객체 자료형으로 나뉜다.
1. 기본 자료형
데이터가 변수에 직접 저장된다.
정수형
byte(1byte), char(2byte), short(2byte), int(4byte), long(8byte)
실수형
float(4byte), double(8byte)
논리형
boolean(1byte) - true/false를 나타낸다.
2. 객체 자료형
객체 메모리 주소가 변수에 저장된다. (레퍼런스, C 계열 언어의 포인터와 같은 개념임)
문자열을 나타내는 String은 객체 자료형이다.
아래와 같이 초기화 하여 사용할 수 있다.
String str = new String();
str = "Hello World?";
String str2 = "Hello World!";
3. 형 변환
자동(묵시적) 형 변환
작은 공간의 메모리에서 큰 공간의 메모리로 이동할 경우 일어나는 형 변환이다.
따로 명시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형 변환이 일어난다.
명시적 형 변환
큰 공간의 메모리에서 작은 공간의 메모리로 이동할 경우 일어나는 형 변환이며, 데이터 누실의 가능성이 있다.
아래 예시와 같이 괄호() 안에 자료형을 명시한다.
int num = 10;
byte bnum = (byte)num;
'개발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] Lombok이란? @Data, @NoArgsConstructor, @AllArgsConstructor, @Builder 사용하기 (0) | 2023.01.27 |
---|---|
[Java] 람다식 (0) | 2022.09.05 |
[Java] 추상 클래스와 추상 메서드 (0) | 2022.09.01 |
[Java] String to Array, String to Char (0) | 2022.08.23 |
[Java] 배열과 메모리 (0) | 2022.08.22 |